<철학 에세이> 글 :송 재 운(동국대 명예교수) 81년 성철스님 宗正 취임 法語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로다. 요즈음도 인구에 회자되는 이 말은 1981년 1월 대한불교 조계종 제6대 종정(宗正)에 추대된 성철(性澈, 93년 入寂)스님이 해인사에서 사부중(四部衆)에게 내린 종정 취임 법어(法語)이다. 보이는 만물은 관음(觀音)이요 들리는 소리는 묘음(妙音)이라 이 외에 진리가 따로 없으니 시회대중(示會大衆)은 알겠느냐!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로다. 이 법어는 마침 중앙일보 이은윤(李殷允) 대기자가 성철스님의 인터뷰를 곁들여 스님 사진과 함께 신문 한 페이지의 전면을 할애하여 보도함으로써 전국민적 화제가 되었다. 제목은 역시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로다>인데, 주먹만한 활자로 박았던 것이다. 중간 제목 등 편집 자체가 더욱 선(禪)적이어서 내용과 더불어 많은 대중의 시선을 집중시켰다. 성철스님의 이 법어 ‘산산 물물’은 지극히 평범한 말에 불과하다. 그러나 이 평범한 말이 대중들의 관심을 끌게 된 것은 종파를 초월한 종교인들은 물론 일반 국민의 추앙을 받는 한국 최고 고승의 입에서 나왔다는데 있다. 그래서 이 말은 “도대체 무슨
원제목 : 사람에게는 개(犬)形 인간과 뱀(巳)形 인간이 있다고 한다. 글 송재운 박사 / 대불총 공동회장 개(犬)형 인간이란 주인에게는 충성을 주군에게는 충복을 의미하며, 주인을 구하고 죽은 개로 유명한 오수(전북 임실면 오수리)개“이야기는 유명하다. 그러나 뱀은...성서에는 사탄이 뱀을 시켜 이브“를 꼬드긴 죄로 땅에 배를 대고 기는 짐승을 여자의 원수로 삼을 것이라“는 구절이 있을 정도로 사악한 짐승으로 비유하기도 한다. 어느 혹한의 겨울날 동면에 들어가지 못한 뱀 한 마리가 산길에서 冬死직전에 놓여 있는 것을 본 지나가던 농부가 측은히 여겨 자신의 가슴속 옷깃에 넣어 녹여 주었다. 따뜻한 농부의 가슴에서冬死를 모면한 뱀이 정신을 차리자 마자, 제일 먼저 한 보답?이 농부의 가슴살을 무는 일이었다. 결과는..농부는 겨우 목숨은 건졌지만,그 후유증으로 인해 그 이후 농사일을 할 수 없었다는 실화가 있다. 물론 뱀이란 미물의 본능적 행위를 배신이라 단정 지을 수는 없다. 그러나 자율성과理性을 가진 인간은冬死직전에 구해 준 농부의 가슴살을 무는 이런 짓을 해선 안될 것이다. 대한민국 정치판에는 뱀 보다 더 사악한 인간들이 부지기수
송 재 운 박사 / 대불총공동회장-동국대학교명예교수 사랑하는 내 딸아 ! 사랑하는 내 딸아 오늘도 촛불을 들었느냐! 엄마와 애비는 등잔불 세대 양초는 제상에 밝혔지! 사랑하는 내 딸아 내일도 노랑깃발 들을 거니? 엄마와 애비는 태극기 세대 그 깃발 하늘에 날렸지! 사랑하는 내 딸아 동해물과 백두산을 보았느냐? 엄마와 애비는 애국가 세대 나라에 충성했지! 사랑하는 내 딸아 혁명을 꿈꾸느냐? 엄마와 애비는 육이오 세대 평화를 갈구했지! 사랑하는 내 딸아 아직도 증오심을 품었느냐? 엄마와 애비는 화해의 세대 사랑하며 살았다! 2016. 12. 23.
송재운(대불총 공동회장 / 동국대학교 명예교수) 정권야욕에만 불타는 돌대가리 야당 정치인들아! 너희들에게 한마디 고한다 이성이라고는 바늘 끝만큼도 찾아보기 어려운 너희들 정치인대가리에서 ‘박근혜 대통령 탄핵’ 후 무엇이 또 나오려나 하였더니 겨우 또 황교안 총리 탄핵 운운이냐? 참으로 한심한 족속들이 바로 너희들이다. 황교안 총리는 참으로 절제절명의 시기에 ‘대통령 권한 대행’이란 막중한 임무를 떠맡았다. 평생 법조인으로서 정치를 모르고 살아온 그에게 있어 대통령 권한 대행이란 직무는 참으로 무거운 짐이 아닐 수 없을 것이다. 그런데 황교안 총리는 불과 며칠 안 되는 사이에 대통령 권한 대행으로서 해야 할 국민의 민생과 국사를 차근차근 잘 챙겨가면서 국민들에게 긍정적 신임을 받아가고 있는 중이다. 너희들 야 3당은 박근혜 정부가 추구해오던 국가 정책을 황교안대행이 그대로 수행하려 한다는 것을 빌미로 또 황교안 총리를 탄핵해야 한다고 으름장을 놓는 게 아닌가? 도대체 너희들은 정치를 한다면서 말없는 다수의 국민은 안중에도 없고 광화문 촛불에만 모든 운명을 걸었단 말이냐. 황교한 권한 대행이 박근헤의 정책을 계승하고 있는 것은 우선 북한 핵공격에 대비한 방어용
혼돈渾沌의 죽음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라! 학의 다리가 길다고 자르지 말고, 오리의 다리가 짧다고 이어 주어서는 안된다 송 재 운/동국대학교 명예교수 남해의 임금을 숙(儵)아라 하고, 북해의 임금을 홀(忽)이라 하며, 중앙의 임금을 혼돈(渾沌)이라 한다. 숙과 홀은 때로 혼돈의 땅에서 만나 놀았다. 그 때마다 혼돈은 그들을 잘 대접하였다. 그래서 숙과 홀은 혼돈의 은혜에 보답할 것을 의논 하였다. “사람은 누구나 (얼굴에)일곱개의 구멍(七竅-두개의 눈, 두 개의 귀, 두 개의 코구멍, 한 개의 입)이 있어 그것으로 보고 듣고 먹고 숨 쉰다. 그런데 유독 이 혼돈에게만 이런게 없다. 어디 시험삼아 우리가 혼돈을 위해 구멍(七竅)을 뚫어주자” (이렇게 해서) 숙과 홀은 날마다 한 구멍씩을 뚫었다, 그런데 7일이 지나자 혼돈은 (그만)죽고 말았다. 장자(莊子)의 莊子(일명 南華經) 내편 7. 응제왕(應帝王)에 나오는 말이다. 장자는 다른 중국 고전들과는 달리 우화(寓話)로 가득 차 있어 읽기에 황홀하고 무궁무진한 상상력을 독자에게 제공한다. ‘우화’란 ‘허구(虛構)의 이야기’다. 그러나 사실 이상의 진실을 담고 있다. 장자의 우화는 대우주 자연과 인간세계 속에
<칼 럼> 송 재 운 박사 / 동국대학교명예교수 무외시(無畏施) <남에게 피해를 주지 않고, 타인을 어려움을 살핌, 그 본질은?> 무외시(無畏施)란 말은 불교 용어지만, 종교와 인종을 초월하여 모든이에게 통용될 수 있는 것이어서 여기에 쓴다. 문자 그대로 풀어 보면 ‘무無는 없음, 외畏는 두려움, 공포, 시施는 베품’이다. 즉 “두려움(畏)이 없는 것(無), 곧 자비를 베푼다(施)”는 뜻이다. 다시 말하면 이는 내 자신의 용모나 언행, 그리고 어떤 처사가 남에게 고통을 주어서는 안되는 것, 이것이 무외시이고, 남이 곤경에 처했을 때에 그를 거기서 구해 주고 잘 살 수 있도록 돕는 것, 이것이 또한 무외시다. 이러한 무외시는 불교에서 남에게 베푸는 세 가지 보시(布施)중의 하나이다. 잠깐 그 연원을 살펴 본다. 대승불교의 수행에 육바라밀(六波羅密)이 있다. 여섯 가지 바라밀인데, 그 조목을 들어 보면 보시(布施-널리 베품) 지계(持戒-계율을 지킴) 인욕(忍辱-욕됨을 참음) 정진(精進-열심히 닦음) 선 정(禪定-고요히 명상에 듬) 지혜(智慧-부처님과 같은 마음 경지)이다. 이 여섯 가지의 덕목을 열심히 실천하고 닦으면 모든 사람은 저
시평 동국대학교 명예교수 송재운 박사 원제목 : 38선이 아니면 남한도 공산화 됐다 -광복 71, 다시 생각해 보는 해방사- 우리 대한민국은 1945년 8월 15일 ‘해방’과 1948년 8월 15일 새 헌법에 의한 나라의 ‘건국’을 포괄하여 ‘광복절’이라 부르고 기념한다. 해방은 일제가 무조건 항복하여 35년간의 저들 식민통치에서 벗어난 것을 뜻하고, 건국은 UN의 결의로 38선 이남 남한만의 단독국가 수립을 말하는 것이다. ‘대한민국’이란 새로운 국가는 UN감시하에 1948년 5월 10일 남한만의 총선을 거쳐, 동년 7월 17일 최초의 건국 헌법이 제정되고, 이어서 8월 15일 이승만을 대통령으로 하는 새정부를 탄생시킴으로써 만들어졌다. 대한민국은 이 건국 헌법으로 말미암아 지구상의 모든 문명국들이 추구하고 있는 자유와 평등, 정의 이념에 따른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갖추고 지금 선진국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고 있다. 그럼에도 대한민국은 탄생하면서 오늘까지 적지않은 세력들에 의해 그 정체성을 훼손당해 오고 있다. 그중 자주 입에 오르내리는 것중의 하나가 38선의 문제다. 38선은 한반도의 남북을 둘로 갈라 놓았고, 민족상잔의 6.25 전쟁을 일어나게 만들었으며
佛敎評論誌, 북 리뷰송재운 박사(동국대학 명예교수)한국에서의 불교와 유교宋錫球 교수의 최근 저서 송석구 교수의 불교와 유교강의는 불교 전반과 유교 전반을 논한 것은 아니다. 부연하면 불교와 유교에 대한 일반적인 교리나 학술적 이론을 강의 형식을 빌어 다룬 것이 아니란 뜻이다. 책 제목에서 풍기는 이미지와는 달리 전적으로 한국 불교와 한국 유교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는 데에 특징이 있다. 그래서 한국에 있어서, 그것도 조선조 이후부터 근세에 이르는 기간 동안 불교와 유교가 어떻게 갈등하고 또한 공존 하면서 이 나라의 사상과 문화를 이루어 발전시켜 오고, 백성들의 삶과 직결되는 정치철학과 이상을 세워 왔는가 하는 데에 논구의 촛점을 맞추어 놓고 있다.국판 500페이지 가까이 이르는 이 방대한 저술은 총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이해를 돕기 위해 장 제목만 적어 본다.1. 조선시대의 불교와 유교 논쟁2. 불교와 유교의 인간관3. 한국불교에서의 지와 행 4. 지눌의 인간관 5. 지눌의 간화 결의론6. 불교의 인성론(대승기신론을 중심으로)7. 불교와 율곡 철학8. 불교적 효도관(불교적 효와 유교적 효)9. 원효와 지눌의 염불관 10. 율곡과 원효(이통기국과 일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