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09 (수)

  • 맑음동두천 13.6℃
  • 구름조금강릉 15.2℃
  • 맑음서울 16.7℃
  • 맑음대전 14.8℃
  • 구름많음대구 16.8℃
  • 구름많음울산 17.6℃
  • 맑음광주 16.4℃
  • 맑음부산 18.6℃
  • 맑음고창 13.5℃
  • 맑음제주 20.6℃
  • 맑음강화 15.7℃
  • 맑음보은 12.9℃
  • 맑음금산 12.6℃
  • 맑음강진군 15.1℃
  • 구름많음경주시 15.6℃
  • 구름조금거제 18.3℃
기상청 제공

칼럼/인터뷰

국민들로 부터 철저하게 외면 받는 "천안함프로젝트"

흥행에 참패한 이유는, 영화 자체에 문제가 있었던 것이지 외부 요인 때문이 아니다!

천안함 爆沈(폭침)에 ‘음모론이 있다’는 취지로 만들어진 영화 ‘천안함 프로젝트’가 상영 중단되었다.
 
 메가박스는 지난 6일 홈페이지에 “9월5일 개봉한 ‘천안함 프로젝트’의 상영이 금일 부로 종료된다”고 밝혔다. 메가박스 측은 “일부 단체의 강한 항의 및 시위에 대한 예고로 인해 관람객 간 현장 충돌이 예상되어 일반 관객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부득이하게 배급사와 협의 하에 상영을 취소하게 됐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그런데 메가박스는 강한 항의를 어느 단체에서 했는지는 밝히지 않았다. 이에 左派(좌파)성향의 <경향신문>은 각 우파단체에 전화를 걸어 압력을 넣은 단체가 어디인지 취재를 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행동본부에도 <경향신문> 기자가 전화를 걸어왔다.
 
 이에 국민행동본부는 통진당 해산촉구라는 중차대한 문제를 앞에 놓고 다른 문제에는 신경 쓸 겨를이 없다고 답했다. 서정갑 국민행동본부장은 <경향신문>과의 전화통화에서 “그 영화는 처음부터 사실관계가 맞지 않는 왜곡된 영화이기 때문에 국민이 외면한 것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지난 달 7일 해군과 유가족들이 “영화의 내용이 사실을 왜곡하고 당사자들의 명예를 훼손했다”며 법원에 상영금지 가처분 신청을 제기했다. 하지만 법원은 개봉 하루 전인 4일 이를 기각했고, 영화는 예정대로 지난 5일 전국 33개 극장에서 개봉했다.
 
 메가박스에서 ‘천안함 프로젝트’ 상영을 중단한 것을 두고 한 보수 성향 인터넷 사이트에선 “졸렬한 영화를 누가 보겠느냐”면서 “흥행이 되지 않자 우파단체 압력을 핑계 삼는 것 아닌가”라는 의혹의 눈초리를 보내고 있다. 메가박스는 2일 동안 33개관에서 개봉했지만 고작 2300명의 관람객만 봤을 뿐이다.
 
 現存하는 우파단체들 중 ‘영화의 상영을 종료하라’는 압력을 넣을 만큼 아둔한 단체는 없다고 본다. 영화가 흥행 참패한 이유는, 당연히 영화 자체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서정갑 본부장의 말처럼 사실관계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음모론만을 가지고 영화를 만들었기에 국민들이 철저하게 외면한 것이다.
 
 천안함 폭침의 원인은 ‘북한의 어뢰공격으로 때문’이란 것으로 이미 밝혀졌다. 그것도 국가기관은 물론 외국 전문가들까지 동원된 정밀한 조사를 통해 밝혀진 내용이다. 그런 점에서 이 영화의 흥행 참패는 어느 정도 예견되어 있었다. 사실이 이러한데도 그 이유를 애꿎은 우파단체에서 찾고 있다니 失笑(실소)를 금할 수 없다.
 
 左派(좌파)들의 ‘남 탓하기’가 이제 영화계에까지 불고 있는 것 같아 씁쓸한 생각이 든다.

 

조갑제 닷컴



혁신학교? 혁신은 개뿔! 애들 학력만 퇴행중! 교무실 커피자판기, 교사 항공권 구입에 물 쓰듯...특혜 불구 학력은 뒷걸음 일반학교에 비해 연간 1억4,000~1억5,000만원을 특별히 지원받는 서울형 혁신학교가 예산을 엉뚱한 곳에 쓰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일부 혁신학교에서는 특별예산(학교운영비)으로 교사실의 각종 책장이나 가구를 구입했고, 수백만원을 들여 학습자료 저장용 USB와 외장하드를 사서 나눠 갖은 사실도 밝혀졌다. 교무실 커피자판기를 구입하는데 특별예산을 쓴 혁신학교도 있었다. 이밖에도 여직원 휴게실 가스보일러 교체, 부장교사 워크숍 항공권 구입, 교직원 전체 체육복 구입 등 본래 목적과는 거리가 먼 곳에 특별예산을 물 쓰듯 전용한 사실이 드러났다. 학생들에 대한 선심성 예산 집행 정황도 나왔다. 일부 혁신학교에서는 학생 티셔츠 구입, 진공청소기 구입 등에 특별예산을 수백만원씩 사용했다. 학생들의 생일축하용 떡케익 구입비용으로 매달 70~90만원을 사용한 곳도 있었다. 반면 서울형 혁신학교의 학력은 일반학교에 비해 오히려 뒷걸음질 친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내용은 서울시교육청이 새누리당 강은희 의원에게 제출한 2012년 혁신학교 정산서 통합지출부를 통해 밝혀졌다. 서울형 혁신학교는 곽노현